주의사항

국민연금
모든 사업자는 재직 중인 근로자가 있을 경우 국민연금 가입을 의무적으로 해야 합니다.

사업자 본인도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며, 가입한 모든 자영업자가 납부해야 하는 기준소득월액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국민연금은 노후 생활 자금을 준비하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험료 납부를 꼭 고려해야 합니다.
건강보험
사업자는 건강보험에 가입하고, 소속된 직원에 대해서도 가입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건강보험료는 사업자와 근로자가 동일하게 부담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계획하여 재정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보험료 미납 시 건강보험 자격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보험료 납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근로자를 고용한 경우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하며, 자영업자 본인은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고용보험료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부담하며, 납부하지 않을 경우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 시 실업급여 및 육아휴직급여 등의 혜택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근로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
사업자는 모든 근로자에 대해 산재보험에 가입해야 하며, 자영업자는 산재보험에 선택적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료는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며, 이를 정확히 계산하여 납부해야 합니다.

산재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근로자가 근무 중 사고를 당했을 때 치료비나 보상금 등을 지원받을 수 있으므로, 보험 가입은 필수입니다.
총괄적인 주의사항
4대 보험에 관련된 보고 및 납부 기한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어길 경우 가산세 및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직원의 고용상태 변화, 급여 인상 등 여러 변동 사항은 즉시 반영하여야 합니다.

보험 관련 업무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회계사나 세무사 등의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야 합니다.
​
생각보다 많은 분들께서 4대보험은 근로자만 가입하는 것으로 알고 계신데요.
​
하지만 개인사업자인 경우에도 의무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 항목들이 있습니다.
[■ 직원이 없는 경우]
​
->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만 지역가입자로 의무 가입
​
[■ 직원이 있는 경우]
​
->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만 직장가입자로 의무 가입
​
[■ 임의로 가입 가능한 보험]
​
-> 고용보험은 의무가 아니지만 원할 경우 가입 가능
​
개인사업자의 의무 가입 항목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이며, 고용보험의 경우 본인이 원하면 가입 가능합니다.
​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업자는 요건을 충족할 경우 근로자처럼 폐업 시 실업급여 수령이 가능합니다.
​
그러다 보니 고용보험 가입을 고려하는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 정말 본인에게 필요한 제도인지 면밀히 따져보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